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하늘마당
농약 검출 인체 무해
2024년 7월 21일 광주일보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최근 광주시 동구 ACC하늘마당 <사진>에서
농약 사용량·잔류량 등을 조사한 결과 토양에서 살균용 농약 ‘아족시스트로빈’이 미량 검출됐다고 21일 밝혔다.
앞서 연구원은 지난 5월 13일부터 21일까지 광주시 내 잔디광장과 파크골프장 등 7개 녹지공간에서 농약 잔류량을 조사했다.
조사 대상은 ACC하늘마당을 비롯해 풍암생활체육공원, 송산근린공원, 첨단체육공원,
시립수목원, 북구 대상파크골프장, 광산구 임곡파크골프장 등이다.
조사는 농약 25종에 대한 잔류량을 조사해 특정 농약 성분이 토양 1㎏당
0.01㎎(0.01ppm) 이상 농도를 보이면 ‘검출’ 판정을 받는 식으로 조사했다.
조사 결과 ACC하늘마당에서는 저독성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이 토양 1㎏당 0.07㎎(0.07ppm) 농도로 검출됐다.
이외 6곳 조사대상지에서는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아족시스트로빈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발생하는 잔디 질병
‘라지 패치’(large patch)를 예방하기 위해 살포된 것으로 확인됐다.
아족시스트로빈은 유럽연합(EU) ‘화학물질 분류, 표시 및 포장에 관한 규정(CLP)’에 따라
흡입 시 인체 건강에 유독한 물질로 분류돼 있다.
인체 노출 시 증상은 밝혀진 바 없으나 피부 통증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ACC하늘마당에서 검출된 농약은 저독성으로 분류되는 데다 많은 양이 검출되지 않아
인체에 대한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광주일보 기사에 따르면 하늘마당에서
아족시스트로빈이라는 살균용 농약 미량이 검출됐고
농약 잔류랑 검사를 시행한 7개의 녹지공간 중
하늘마당에만 저독성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이 검출된 건데요
하늘마당은 피크닉을 하기 위해 많이 찾는 곳으로
인체에 무해한 농약이지만 잔디 위에 앉아있고 놀기엔 약간 찜찜한 기분이 들긴 해요
그래서 전당에서는 농약 기사와 관련해 입장문을 올렸습니다
전당은 매년 하늘마당을 시민에게 개방하고 있으며
잔디밭에 발생하는 라지패취(곰방이균에 의해 잔디가 갈색으로 변하여 사멸하는 병)의
예방 및 살균을 위해 저독성 농약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광주시보건환경연구원이 지난 5월 하늘마당의 시료를 채취하여 농약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이 0.07㎎/㎏(과거 잔류허용 기준 0.2㎎/㎏)으로
미량 검출되어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국민들이 일반적으로 접하는 과채류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약잔류허용기준(아족시스트로빈)에 의하면,
상추 20㎎/㎏, 들깻잎 20㎎/㎏,
고추 2.0㎎/㎏, 수박 0.2㎎/㎏, 토마토 1.0㎎/㎏, 딸기 1.0㎎/㎏ 등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사용한 농약은 곡물과 과일을 재배하는 과수원 등에서도 사용하는
저독성 살균제로 유해성이 낮고 잔디 세포내부에 침투하여 세균이 사멸하도록 제조됨에 따라 공기 중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시민들이 안전하게 하늘마당을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농약이라는 단어가 걱정을 유발하긴 하지만
과채류의 농약잔류허용기준과 비교해 본다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하늘마당의 농약 잔류랑은 미량이기 때문에
안심하고 하늘마당에 방문해도 될 것 같네요~!
'gwangju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광역시 공공형 어린이집 추가 지정 공보육 강화 (0) | 2024.08.08 |
---|---|
광주광역시 70대 운전자 급발진 사고 (0) | 2024.07.28 |
광주광역시 옛방직공장터 더 현대 광주 2025년 착공 2027년 오픈 예정 (0) | 2024.07.26 |